🔹 1. 연계 요구사항 분석
✅ (1) 통합 구현 개념
📌 통합 구현이란?
-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모듈을 연결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
- 데이터가 원활하게 송수신되도록 연계(인터페이스)하는 과정.
📌 통합 구현 구성 요소
- 송신 시스템 📤 :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 중계 시스템 🔄 :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오류를 처리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 송신된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하는 시스템.
- 네트워크 🌐 :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망(유선, 무선 등).
- 연계 데이터 📊 : 송수신되는 실제 데이터.
🔹 2. 연계 시스템 구성
✅ (1) 송신 시스템 📤
- 정의 : 데이터를 최초로 만들어서 보내는 시스템.
주요 기능
- 데이터 생성 및 관리
- 데이터베이스 운영
- 송신 모니터링
특징
- 원본 데이터의 품질과 정확성을 책임짐.
✅ (2) 중계 시스템 🔄
- 정의 : 데이터가 전달되는 중간 과정에서 변환과 보안을 담당하는 시스템.
주요 기능
- 데이터 형식 변환
- 보안 관리
- 전송 상태 모니터링
장점
- 시스템 간 직접 연결 없이 안전한 데이터 전송 가능.
- 장애 발생 시 빠른 대응 가능.
✅ (3) 수신 시스템 📥
- 정의 : 데이터를 받아서 활용하는 최종 시스템.
주요 기능
- 데이터 수신 및 검증
- 데이터베이스 저장
- 데이터 활용
🔹 3. 연계 데이터 형식 📋
✅ (1) XML 문서 📄
<user>
<name>홍길동</name>
<age>30</age>
</user>
- 가장 전통적인 형식
- 구조화된 데이터 표현에 적합
- 다소 복잡할 수 있음
✅ (2) JSON 형식 🔠
{
"name": "홍길동",
"age": 30
}
- 웹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
- 읽기 쉽고 간단함
- JavaScript와 호환성 좋음
✅ (3) YAML 형식 📝
name: 홍길동
age: 30
- JSON보다 더 읽기 쉬움
- 설정 파일로 많이 사용
- 들여쓰기로 구조 표현
🔹 4. 연계 데이터 표준화 📑
✅ (1) 연계 데이터 표준화란?
- 연계 데이터를 구분하고 표준화하여 관리하는 과정.
- 연계 데이터의 구성 요소를 정의하고, 변환 방식과 데이터 구조를 명확히 규정함.
✅ (2) 연계 데이터 표준화 절차
1️⃣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시스템 간 연계할 정보의 범위와 항목을 상세히 정의.
- 송수신 시스템이 다를 경우, 항목을 조정하여 일관성을 유지.
2️⃣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시스템마다 코드 형식이 다를 경우, 표준화된 코드로 변환.
대표적인 변환 방법
- 송신 시스템 코드 → 수신 시스템 코드로 매핑
- 여러 개의 송수신 코드 통합 후 표준 코드로 변환
3️⃣ 변경된 데이터 구분 방식 정의
- 식별자 (PK, Primary Key): 데이터를 유일하게 구별하는 이름.
- 변경 구분: 데이터가 추가, 수정, 삭제될 경우 어떻게 반영할지 결정.
- 관리정보: 데이터 송수신 여부, 일시, 오류 코드 등의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
4️⃣ 연계 데이터 표현 방식 정의
- 데이터를 테이블 또는 파일 형식(XML, JSON, YAML 등) 으로 표현.
- 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연계 데이터가 생성되는 시점과 적용 방법을 명확히 규정.
🔹 5. 인터페이스 정의서 및 명세서 📜
✅ (1) 인터페이스 정의서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 방식을 문서화한 것.
- 각 시스템이 주고받을 데이터의 구조, 처리 방식, 연계 주기 등을 명확히 기록.
✅ (2) 인터페이스 명세서
-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한 데이터 항목을 정의하는 문서.
- 주요 항목:
- 인터페이스 ID: 인터페이스를 구별하는 고유 ID
- 데이터 타입: 연계되는 데이터의 형식(JSON, XML 등)
- 데이터 길이: 전송될 데이터의 길이 제한
- 연계 주기: 데이터가 주고받는 빈도 (실시간, 배치 등)
- 오류 처리 방식: 데이터 전송 중 오류 발생 시 복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