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쓰는 걸 완전 잊고 있었다...
집이 아니라 노트북이랑 마우스만 있는데 손목도 너무 아프고 목도 너무 아프다
거북(turtle)해질 것 같음...
오늘은 코드 수정하고 오류를 찾았는데
그것도 내가 만든 페이지에서 발생하진 않아서 그다지 할 일이 많진 않았다.
대신 발표 때 사용할 발표 대본을 만들었다.
어떤 식으로 발표하면 되는지 정리된 노션을 읽었는데
api 이야기가 나와서 api를 좀 찾아봤었다.
유튜브나 블로그 글도 많이 찾아봤지만 아직은 생소하고 잘 기억하기 힘든 개념이랄까...
API
처음엔 여기저기 블로그 글을 찾아 읽었는데, 설명이 너무 어려웠다.
분명 한글인데 읽히지가 않아... 그래서 좀 더 쉽게 설명된 뜻을 찾아보았다.
응용 프로그램이 (컴퓨터 운영 체계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같은 다른 프로그램 & 장치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작용 수단. 컴퓨터 운영 체계의 기능과 그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함수의 집합이다.
네이버 사전 설명은 좀 더 간략하고 쉬운 느낌이지만... (아니ㅇㅑ 조금 아쉬워...!) 이런 느낌이 있었어서 설명을 더 찾아보았다.
그랬더니 조금 더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신 분들이 몇 계셨다!
1)
응용 프로그램 = ( 내가 만드는 프로그램에서)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 ( 누군가가 만든 기능)
API = (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2)
응용프로그램 = (me) 와
운영체제 및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 = (tv)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역할 = api (리모컨)
3)
손님 = (내가 만드는 프로그램)이
주문을 한다 = 웨이터(API)에게
웨이터(api)는 = 주방장(API제공자)에게 손님이 주문한 메뉴를 전달!
웨이터(API)는 완성된 요리를 다시 가져다 준다 = 손님(내가 만드는 프로그램)에게
즉, api는 중간에서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api를 사용하면
내가 사용하는 api 기능을 어떻게 구현하면 되는지 몰라도 된다.
api가 가져다 주는 기능을 사용만 하면 된다.
즉, 처음부터 개발하거나 유지 보수할 필요가 없는 외부 데이터, 기능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것의 예시로는,
온라인 쇼핑몰을 열었을 때, 내가 직접 결제 시스템을 만들고 알 필요가 없는 것처럼
api를 제공받아 내 사이트에 그냥 넣는 것!
카카오 오픈 api -> https://developers.kakao.com/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카카오 간편 로그인, 지도 api 등이 보인다.
그런데 이 api들은 그냥 막 사용할 수 없다.
제공하는 사람에 따라 무료일 수도, 유료일 수도 있는 것이다.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 규격을 제공하는 문서인 api 문서의 사용법이 공개되어 있으면 사용 가능하지만,
제공되지 않았다면 private api인 것...
이제 진짜 api는 뭐다? 프로그램을 위한 인터페이스 =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과 규격이다~
그럼 인터페이스는 뭐다? 기계간의 장치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을 의미한다!
간단하게 인간과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키보드 같은 것...
정리를 해보자면
api : 프로그램을 위한 인터페이스 (중간에서 도움) ,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소통방법 (서버와 어떻게 소통할 것인지)
ex. /write로 접속했을 때 글 쓸 수 있는 페이지를 갖다주는 것
인터페이스 : 기계간의 장치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 방법 (인간-컴퓨터 연결해주는 장치)
일단 손목이 너무 아프고 정리해야할 내용도 방대해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려고 한다.
https://intelliy-min.tistory.com/16
API란 무엇일까? (초보 개발자가 궁금한 API개념)
개발 공부를 하면서 API란 용어를 굉장히 많이 듣게 된다. 도대체 API란 무엇일까? API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검색을 하며 여러가지 글을 읽고 공부하여 정리해보았다. API란?
intelliy-min.tistory.com
https://onethejay.tistory.com/159
다시 정리해보는 REST API
매년 경력이 쌓이면서 경력 값 하는 개발자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처음 개발을 배울 때는 자바와 JSP, HTML, Javascript만 있는 줄 알았지만, 일을 하고 배워가면서 정말 많은 종류가 있다는 것을
onethejay.tistory.com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정리한 REST API
면접관: REST API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velog.io
[Rest API] RESTful하게 URL 설계하기
RESTful하게 URL 설계
velog.io
https://junvelee.tistory.com/107
REST API란 무엇인가?
1. REST의 등장 배경 1. REST의 등장 REST는 인터넷과 같이 복잡한 네트워크 통신이 등장함에 따라, 이를 관리하기 위한 지침으로 만들어졌다. 대부분의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태스크를 수
junvelee.tistory.com
https://velog.io/@somday/RESTful-API-%EC%9D%B4%EB%9E%80
RESTful API 이란
REST API 에서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아키텍처의 한 형식 입니다.즉, 자원을 이름 (자원의 표현) 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 (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velog.io
RESTful API
'Restful API란?' 이라는 질문에 답변을 위한 REST API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본다. RESTful API는 결국 REST하다는 의미인데, 먼저 REST가 어떤 의미인지부터 알아야할 필요성이 있겠다. REST API REST API는 HTTP
i-ten.tistory.com
https://adjh54.tistory.com/150
[Java] RESTful API 설계 방법 -1 : 이해하기
해당 글에서는 Restful API에 대해서 이해하며 이를 통해 설계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1) REST / RESTful API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adjh54.tistory.com
https://meetup.nhncloud.com/posts/92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 NHN Cloud Meetup
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meetup.nhncloud.com
https://eun-jee.com/post/web/RESTful_API/
RESTful한 API 설계하기 위해 알아야할 것들
REST API, URI 규칙, Path variable vs Query string 등 REST API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
eun-jee.com
https://library.gabia.com/contents/8339/
가비아 라이브러리
IT 콘텐츠 허브
library.gabia.com
[네트워크] REST API란? REST, RESTful이란?
REST API란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의미합니다. REST API를 알기 위해 REST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
khj93.tistory.com
서버만들 때는 REST하게 API를 짜는게 좋다!(RESTful API)
1. 먼저 API란? API란, Application rogramming Interface, 인터넷과 통신할 때 통신 규약... 이건 알필요 없고!! 웹개발에서 API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소통방법 == 어떻게 해야 서버와 통신할 수 있을까?
jistation.tistory.com
(즹하게 많이 읽었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DB API 사용하기 5 (0) | 2024.05.01 |
---|---|
TMDB API 사용하기 4 (0) | 2024.04.30 |
TMDB API 사용하기 3 (0) | 2024.04.25 |
TMDB API 사용하기 2 (0) | 2024.04.24 |
TMDB API 사용하기 1 (0) | 202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