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연계 메커니즘 정의1) 연계 방식의 장단점🔹 직접 연계 (시스템 간 직접 연결)장점: 구현이 간단하고, 개발 비용이 저렴하며, 연계 처리 성능이 높음.단점: 시스템 간 결합도가 높아 인터페이스 변경이 어렵고, 보안 적용이 어려움.🔹 간접 연계 (중간 매개체를 활용한 연계)장점: 다양한 환경과 통합 가능, 보안 적용이 용이함, 인터페이스 변경 가능.단점: 연계 메커니즘이 복잡하고 성능 저하 가능, 테스트 기간 필요.📌 2) 간접 연계 메커니즘 구성 요소🛠 1.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운영 DB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 프로그래밍 방식 또는 DB 오브젝트를 활용하여 생성.🔹 오류 발생 시 로그 테이블에 기록 (발생 시점, 오류 코드, 오류 내용 포함).🛠 2. 코드 ..
🔹 1. 연계 요구사항 분석✅ (1) 통합 구현 개념📌 통합 구현이란?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모듈을 연결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데이터가 원활하게 송수신되도록 연계(인터페이스)하는 과정. 📌 통합 구현 구성 요소송신 시스템 📤 :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중계 시스템 🔄 :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오류를 처리하는 시스템.수신 시스템 📥 : 송신된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하는 시스템.네트워크 🌐 :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망(유선, 무선 등).연계 데이터 📊 : 송수신되는 실제 데이터.🔹 2. 연계 시스템 구성✅ (1) 송신 시스템 📤정의 : 데이터를 최초로 만들어서 보내는 시스템. 주요 기능데이터 생성 및 관리데이터베이스 운영송신 모니터링 특징원본 데이터의 품질과 정확성을 책임짐...
📌 1. 정렬의 기초 개념 ❓ 정렬이란?- 여러 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 ⬆️ 오름차순(Ascending): 작은 값부터 큰 값 순으로 정렬 (예: 1, 2, 3, 4...)- ⬇️ 내림차순(Descending): 큰 값부터 작은 값 순으로 정렬 (예: 9, 8, 7, 6...) 🎯 2. 기본 정렬 알고리즘 2.1 선택 정렬 (Selection Sort) 🔄💡- 전체 데이터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아 맨 앞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 정렬이 진행될수록 앞쪽부터 정렬된 상태 유지 2️⃣ 선택 정렬 과정 쉽게 이해하기데이터: 50, 59, 41, 94, 53, 58 1️⃣ 첫 번째 숫자(50)를 선택남은 숫자 중 최소값(41) 찾기50과 41을 교환결과: 41, 59, 50,..
🔍 탐색(Search)이란?많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과정탐색 방식에 따라 내부 탐색과 외부 탐색으로 나뉨 내부 탐색: 컴퓨터 메모리(RAM)에서 빠르게 검색외부 탐색: 보조 저장 장치(HDD, SSD)에서 검색 → 상대적으로 느림🔎 탐색의 종류1️⃣ 기본적인 탐색 방법선형 탐색 (O(N))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로 비교하며 찾기단순하지만 데이터가 많으면 속도가 느림 이분 탐색 (O(logN))데이터를 절반씩 줄여가며 탐색정렬된 데이터에서만 사용 가능 → 훨씬 빠름 보간 탐색찾을 값이 어디에 있을지 예측해서 검색하는 방식 2️⃣ 효율적인 탐색 방법블록 탐색데이터를 그룹(블록)으로 나눠서 탐색 속도 향상 이진 트리 탐색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만들어 탐색 해싱 탐색 (O(1))특정한 해시 함수를 ..